개요2022년 12월에 졸업식을 하고 지금껏 데이터분석을 향해 달려온 결과 지난주 월요일 드디어 데이터분석가 딱지를 달게 되었습니다. 이제 저도 그저 그런 데이터 분석가입니다. 그렇지만 마냥 기쁘지만도 못한 첫 출근부터 오늘까지 5일간의 출근을 하며 느낀 점을 간략하게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개요를 읽으면서 느끼셨을까요. 이 글은 전혀 즐거운 마음으로 적고 있진 않습니다. 오히려 즐거운 노래를 들어야 겨우 우울감을 잊을 정도입니다.취업 - 독이 든 성배 취업의 과정은 별 것 없었습니다. 몇몇 게임회사에는 심혈을 다한 서류를 구성하고, 알려지지 않은 인디 게임회사에도 혹시 데이터분석가가 필요하지 않냐는 셀프 세일을 하는가 하면서도 잡포털 사이트에 그냥 지원할 수 있으면 일단 지원버튼을 누르고 봤습니다. 그러..
비연아.1,000명의 유저가 강화를 시도했는데, 성공한 유저들은 평균적으로 10번 이하의 시도에서 성공하더라고, "장비 강화는 10번 이내에 성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렇게 대충 결론지어서 보고서 올리면 되겠지? 라는 내용으로 동기가 질문해 왔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상황이 일단 잘 이해가 안 가는데, 차근차근 정리해 보겠습니다.1,000명 중 강화를 성공한 유저들을 확인해 보니 평균적으로 10번 이하의 시도를 하더라...강화 단계는 동일하다고 가정하겠습니다.문제 속에 두 가지 정도 파헤쳐볼 것이 보입니다. 1. 강화 성공 유저들이 표본집단으로 선택된 이유가 특별히 있는가? 2. '평균적'으로 10번 이하라는 것은 뭘 의미하나? 첫 번째는 질문은 다음 사진을 보고 다시 한번 보시길 바랍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