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여행 가서 굉장히 많이 힐링과 귀가 후 쇼크를 받았습니다. 어쨌든 다시 달려봐야겠습니다. 대시보드에 대해서 어떻게 기획해 나가고 있는지 그 중간단계를 보고합니다. 1. 대시보드의 제작 목적 경과 보고서(6)에서도 말했지만, 깊은 분석보단 문외한도 알 수 있도록 빠르게 이슈를 탐지해낼 수 있게 만드는 것이 키포인트. 의뢰인은 나에게 어떻게 하면 더 블로그가 흥할 수 있는지 물어봤고 나는 전반적인 지표를 알기쉽게 제공해야한다. 2. 대시보드 프로세스 왜 그렇게 AARRR, AARRR, 입이 닳도록 말하는지 이제야 좀 이해가 될 것 같은 느낌이다. AARRR이나 분석 방법론은 생각을 정리해주는 하나의 '틀'이다. 블로그가 흥하는 것을 적어도 몇 가지로 정의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나는 더 많은 유입,..
해당 프로젝트는 게임 관련 프로젝트는 아니지만,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처음으로 냈다는 부분에서 개인적으로 의미가 큰 프로젝트이다. 데이터셋은 Tableau에서 제공하는 가장 매출 데이터 SuperStore 2018을 사용했으며, 태블로를 사용할 줄 몰랐던 때라, Python으로 무작정 분석하는데 열중했던 기억이 있다. 무엇을 어떻게 진행하였고, 결과는 무엇이고, 어떤 것을 배웠는지 회고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자. 데이터셋 진행 과정 문제 상황 정의 뭔가 Fancy한 분석 기법이라도? 그런 건 없다. 애초에 문제 상황이 무엇인지 모르는 상황에서 일단 데이터를 분해해보자는 마음에서 시작하였다. 데이터를 이리저리 굴려보고 도저히 감을 못 잡겠어서 무난하게 매출을 올리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라는 것을 임시 주제..
분석 주제: 지역별/품목별/시기별 판매전략 수립 과거에 이미 진행했던 프로젝트. Tableau에서 제공해 주는 매출데이터를 기반으로 Python으로 이리저리 데이터를 조작하고 그래프를 수십 개를 그려가며 힘들게 했던 프로젝트였다. 이번에 타블로를 배우면서 해당 데이터를 다시 한번 접할 수 있었고 이 툴을 사용하면 훨씬 더 쉽게 데이터 분석을 실행할 수 있고 설득력 있는 문서 작성이 가능하리라 생각한다. 다른 툴을 활용하더라도 완전히 일치하는 인사이트가 나올 수 있을지도 기대된다. 태블로 활용 목표는 하나의 완성된 대시보드 안에 후에 액션플랜을 제시하기에 뒷받침 되는 요소들로 구성하는 것. 태블로 공부를 마치고 나서 시작한다고 해도 7 ~ 9일이면 끝날 것 같다.